ㆍ충남대학교 법과대학 사법학과 졸업
ㆍ서울노무법인 선임노무사
ㆍ제이에스인사컨설팅 노무사
ㆍHana Law Consulting 노무법인 선임노무사
ㆍ한국노사상생연구원 대표 노무사
ㆍ노무법인 진정 대표 노무사(현)
ㆍCFO아카데미 전임교수(현)
ㆍ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객원교수(디지털융합경영학과)
연봉제의 설계 및 운영사례실무
ontact
- 교육일정
- 교육시수
09:30 ~ 17:30 (1일 / 7시간)
2025-04-15 ~ 2025-04-15
09:30 ~ 17:30 (7시간) - 교육대상인사ㆍ총무ㆍ노무ㆍ4대보험ㆍ경영지원부서의 실무자와 관리자
- 장소ontact ontact
- 교육비210,000원
- 모집인원 접수가능 / 정원 21명
- 접수기한교육개시일 7일전까지
- 첨부파일
연봉제의 설계 및 운영사례실무(공문)5.pdf
- 수강신청하기
교육목표
ㆍ연봉제에 대한 기본 개념 및 목적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.
ㆍ연봉제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실전 지식과 전략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.
ㆍ회사의 니즈에 맞는 연봉제를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다.
ㆍ연봉제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실전 지식과 전략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.
ㆍ회사의 니즈에 맞는 연봉제를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다.
교육특징
ㆍ기업경영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임금의 유연성이 필요하며, 저성장기에 기업생존 위해 임금의 유연성을 통한 고용의 유연성 확보가 필연적임.
ㆍ따라서 직종에 맞는 임금을 설계하여 지급함으로써 임금의 합법성/합리성/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근로의욕을 고취하여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.
ㆍ연봉제의 본질을 이해함으로써, 연봉제 도입 시의 부작용을 해소하고 기업의 니즈를 충족하 수 있는 제도를 설계할 수 있음.
ㆍ따라서 직종에 맞는 임금을 설계하여 지급함으로써 임금의 합법성/합리성/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근로의욕을 고취하여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.
ㆍ연봉제의 본질을 이해함으로써, 연봉제 도입 시의 부작용을 해소하고 기업의 니즈를 충족하 수 있는 제도를 설계할 수 있음.
과정소개
연봉제 도입을 준비하고 있거나, 기존 연봉제 운영 방식의 개선이 필요한 경영자 및 인사담당자가 회사의 니즈에 맞는 연봉제를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실무 관점에서의 연봉제 설계 방법을 학습할 수 있음
교육내용
1일차 |
1. 임금관리 전략 이해 2. 연봉제 이해 ㆍ 연봉제 개념 ㆍ 연봉제 유형 및 연봉 결정 방식 ㆍ 연봉제 도입 프로세스 3. 직급체계 설계 방법 ㆍ 직급의 의미 ㆍ 직급체계 설계 ㆍ 승진제도 설계 4. 평가제도 설계 방법 ㆍ 평가 항목 설계 (성과, 역량) ㆍ 평가 운영 방법 및 프로세스 설계 5. 연봉제 설계 방법 ㆍ 연봉체계 분석 방법(기존 임금제도 분석 방법) ㆍ 연봉밴드 설계 방법 ㆍ 한국식 연봉제 설계 방법 (기본연봉/성과연봉) ㆍ 연봉 인상 방법 ㆍ 연봉제 설계 사례 연구 6. 상여금 및 성과급 설계 방법 ㆍ 상여금 및 성과급 정의 ㆍ 상여금 및 성과급 설계 방법 7. 연봉제 도입에 따른 노동관계법 적용 ㆍ 연봉적용 대상 ㆍ 연봉제 도입 방식 ㆍ 연봉제 운영상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ㆍ 연봉제 관련 중요 판례 분석 |
---|
담당교수
-
신정욱공인노무사경력저서ㆍ임금체계 설계 및 관리실무
ㆍ하루만에 끝내는 근로기준법 마스터
ㆍ합리적 근로관계 종료관리를 위한 마스터